주요기사

韓日獨 NGO “징용시설 유산 등재땐 어두운 역사도 기록해야”

799

세계유산 등록 유력한 하시마

(서울=연합뉴스)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일본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이 유력해졌다. 사진은 미쓰비시 해저 탄광이 있던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출처:위키피디아 )

세계유산위 의장에 의견서 보내…민간 첫 국제연대 대응
“기념비·위령비 건립 등 필요”…독일서 전시회·집회도 계획

(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한국, 일본, 독일의 비정부기구(NGO) 활동가와 학자 등 민간 인사들은 8일(현지시간)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노동 현장이 포함된 일본 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과 관련해 독일인인 마리아 뵈머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의장에게 어두웠던 역사도 함께 보존하고 기억해야 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보냈다.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공동대표, 서 승 일본 리쓰메이칸대 석좌교수, 한정화 독일 코리아협의회 대표 등 ‘야스쿠니반대촛불행동’ 관계자 9명은 이날 오전 독일 외교부를 방문해 뵈머 의장 앞으로 보내는 이런 내용의 서한을 동아시아 담당관에게 전달했다.

이들은 전날 ‘야스쿠니반대독일촛불행동’ 주도의 세미나 참석자 50여명의 서명을 곁들인 의견서에서 “하시마 탄광, 미쓰비스 조선소, 일본제철 등은 근대 일본이 주변국을 침략해 식민지와 점령지 주민들을 노예적 상태로 만드는 일에 경제 방면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전범기업이고, 식민지 조선의 주민 6만여 명과 중국인 노동자 등을 강제동원해 노예노동에 가까운 인권 침해를 한 역사적 사실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러나 일본 정부가 이런 사실을 삭제한 채 ‘메이지 시대 산업혁명 유산’이란 미명 하에 편법을 사용해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은 강제동원·강제노동의 피해자는 물론 유네스코의 창립정신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의견서는 “우리는 전범기업 시설의 등재 문제가 단지 한일간의 정치 문제나 해묵은 민족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보편적 인권의 문제임을 재차 강조한다”면서 “만일 이들 시설을 등재하려 한다면 불행했던 과거를 있는 그대로 밝혀 사람들에게 기억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념비 등을 설치하는 조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예컨대 위령비 건립 같은 희생당한 피해자들의 한을 위령해야 할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앞으로 세계유산위원회 21개국 위원 전원에게 민족문제연구소 주도로 제작된 강제징용자 증언 영상 등 각종 참고 자료를 보내고, 이 위원회가 독일 본에서 등재 결정 회의를 여는 6월 28∼7월 8일에 맞춰 강제징용 피해 전시회를 개최하는 한편 관련 집회도 준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포 사회 일각과 국내 관련 단체에서는 모금 운동도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이 등재를 추진 중인 23개 시설 가운데는 조선인이 강제징용됐던 나가사키 조선소 제3 드라이독·대형크레인·목형장, 다카시마 탄광, 하시마 탄광, 미이케 탄광 및 미이케 항, 야하타 제철소 등 7개 시설이 포함돼 있다.

uni@yna.co.kr

<2015-05-05> 연합뉴스

☞기사원문: 韓日獨 NGO “징용시설 유산 등재땐 어두운 역사도 기록해야”

※관련기사

☞한겨레: “세계유산 유력 일본 징용시설에 강제노동 명기해야” 

☞YTN: 한일, ‘징용시설 유산 등재’ 회동 추진..정부 ‘뒷북’ 총력전

☞한국일보: 가미카제 자살특공대 유서 세계기록유산 재도전

☞연합뉴스: 일본 ‘자살특공대’ 유서 세계기록유산 재도전 움직임(종합)

※관련포토기사

(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한국, 일본, 독일의 비정부기구(NG0) 활동가와 학자 등 민간 인사들은 8일(현지시간)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노동 현장이 포함된 일본 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과 관련해 독일인인 마리아 뵈머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의장 앞으로 어두웠던 역사도 함께 보존돼야 한다는 의견서를 보냈다. ‘역사적 책임’이라는 문구가 눈에 띄는 전시물이 놓인 독일 외교부 청사 안에서 촬영된 사진에 왼쪽부터 파울 슈나이스 독일인 목사, 기도 에이이치 일본 오사카대 교수, 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 한정화 독일 코리아협의회 대표, 야노 히데키 일본 강제노역 배상 추진 시민단체 사무국장,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보상추진협의회 공동대표(의견서 든 이), 서승 일본 리스메이칸대 석좌교수, 하르트무트 알브루샤트 독일인 목사가 보인다. 2015.5.8

※참고영상

※역사채널e – 지워지지 않는 상처, 강제동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