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사설] 모두 ‘집필 거부’하니 ‘뉴라이트 교과서’ 만들 건가

466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학계의 반대 움직임이 들불처럼 번져나가고 있다. 연세대 사학과 교수 전원이 한국사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 선언을 한 데 이어 고려대, 경희대, 이화여대, 한국교원대, 서울여대 교수들도 잇따라 집필 보이콧을 선언하고 나섰다. 집필 거부 선언에 참여한 학자들의 정치적 성향은 각자 다르다. 그러나 역사의 시곗바늘을 거꾸로 돌리려는 정부의 그릇된 행태에 대한 거부감은 한결같다.


학자들이 내놓은 선언문 내용은 하나같이 정부가 귀담아들어야 할 내용들이다. “한국 사회가 이룩한 제도적 성취와 국제적 상식을 부정하는 행위” “특정 역사관을 청소년에게 주입하려는 국정교과서는 역사교육의 독립성을 침해하는 만행” “자신의 역사를 따뜻하지만 비판적으로, 긍정적이지만 이성적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21세기 한국 사회를 풍요롭게 하는 지름길”…. 학자들의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는 또한 “학생들에게 부끄러운 처신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이기도 하다.


대다수 학자들이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를 선언하고 나섬에 따라 국정교과서 필진은 결국 뉴라이트 계열 소수 학자들에 국한될 가능성이 커졌다. 진보와 보수의 균형은 고사하고 학자적 양심과 학문적 수준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편향적 학자들이 만드는 교과서의 수준이 어떨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지금 집필자 후보군으로 떠오른 학자들의 면면을 볼 때, 일제강점기를 미화하고 이승만·박정희 독재정권에 대한 찬양 일색으로 ‘채택률 0%’의 굴욕을 당한 교학사 교과서의 재판이 될 가능성도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총대를 메고 나선 황우여 교육부 장관, 김재춘 교육부 차관, 김정배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등은 과거에 한결같이 국정화에 반대했던 사람들이다. 특히 김 위원장의 경우 1973년 유신 시절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이런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획일적인 역사란 있을 수 없다. … 과학의 발달에 따라, 사료의 개발에 따라 역사 내용 자체도 달라질 수 있는 마당에 다양성을 말살하고 획일성만을 찾으려는 것은 위험하다. … 소수 저자만에 의한 교과서는 독단에 빠지게 될 위험이 있으며 자유경쟁에 의한 오류의 보완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 학계에서 나오는 선언문 내용과 너무나 똑같다. 이들에게 당부한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의 당위성을 강변하기에 앞서 자신의 양심과 소신을 뒤집은 것에 대한 설명부터 한번 해보시라.


<2015-10-15> 한겨레

☞기사원문: [사설] 모두 ‘집필 거부’하니 ‘뉴라이트 교과서’ 만들 건가

※이슈 국정교과서 논란

“교과서에 다양성을 어떻게 집어넣나”

[크리틱] ‘교과서’ 문제가 아니다 / 문강형준

이승만·박정희 업적 폄훼? 유일 합법정부 수립·고도성장 비중있게 다뤄

보수언론, ‘어제’는 국정교과서 비판 ‘오늘’은 찬성 돌변

[팩트체크] 새누리당 역사교과서 ‘주장과 사실’ 



ㆍ이승만, 1948년에 “대한민국 30년”…1919년 건국 인정

ㆍ학계 ‘건국절’ 주장은 독립운동 삭제· 친일파 복권 의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일을 ‘건국절’로 못박으려는 뉴라이트 진영의 보폭이 커지고 있다. 헌법 전문에 명시된 상하이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폄하한 건국절 집착은 이승만 정부 출범부터 대한민국 역사를 다시 쓰려는 뉴라이트의 숙원과 역사 왜곡이 표출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24일 교육부가 내놓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은 중·고교 과정 모두 1948년 8월15일을 “대한민국 수립일”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지난해 배포된 초등 국정 역사교과서 실험본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 표현과, 2013년 광복절 전날 국가기록원이 공식 발표한 ‘대한민국 정부 수립 기념식’ 장면을 1~2년 만에 뒤집기 시작한 것이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75)은 지난 12일 역사교과서 국정 전환 발표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연도를 묻는 물음에 “우리 학계의 큰 문제 중 하나”라며 답변을 피했다. 새 교육과정에 ‘대한민국 건국=1948년’ 개념을 넣어놓고, 국정교과서 제작 과정에서도 커다란 논란이 될 것임을 예고한 셈이다.


‘건국절’이란 뉴라이트 학자들이 이승만 정부 수립일(1948년 8월15일)을 건국일로 지칭하는 것이다. 이들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과 대한민국 건국 선포는 의미가 없고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의 원년은 이승만 정부 때 시작됐다고 역사를 수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승만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건국 시점을 임시정부 수립연도인 1919년으로 인정했다. 1948년 8월15일 이 전 대통령은 ‘정부 수립 대통령 기념사’에서 “대한민국 30년 8월15일 대통령 이승만”이라고 끝맺어 ‘대한민국 건국’ 시점이 1919년임을 명시했다. 그해 9월1일 발행된 대한민국 관보 1호에도 ‘대한민국 30년 9월1일’(사진)이라고 날짜가 적혀 있다.


해묵은 ‘건국절’ 논란은 이명박 정부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8년 이명박 정부는 국무총리 산하 ‘대한민국 건국 60년 기념사업위원회’를 출범시켰고, 그해 8·15 경축사에서 이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건국 60년”이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당시 정갑윤 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 13명은 8·15를 ‘광복절’이 아닌 ‘건국절’로 기념하자는 법률안까지 발의했다가 여론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혀 법안을 철회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올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오늘은 광복 70주년이자 건국 67주년을 맞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말했다.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이승만 정부도, 이승만 대통령 도 건국 시점이 1919년이라고 수차례 공식 인정한 점에서 1948년 8월15일을 건국절로 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이준식 연구원은 “1948년을 건국절로 할 경우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건국에는 아무런 연결성이 없어진다”며 “독립운동사 중심의 근대사 축소 주장 등을 통해 뉴라이트 세력이 주로 의도하는 것은 ‘친일파 복권’ ”이라고 말했다.

<2015-10-15> 경향신문


☞기사원문: [국정교과서 강행 – 왜 건국절에 집착하나]이승만도 인정한 ‘임정’ 뉴라이트는 부정


※연관기사

☞이슈·연재: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뉴라이트의 역사 쿠데타, 무엇을 노리는가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