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부친 ‘친일’ 뭉개기, 김무성의 무모한 도전?

512


[取중眞담] 김용주 논란 확대 재생산한 김 대표의 역사 왜곡

[取중眞담]은 <오마이뉴스> 상근기자들이 취재과정에서 겪은 후일담이나 비화, 에피소드 등을 자유로운 방식으로 돌아가면서 쓰는 코너입니다. [편집자말]

기사 관련 사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0월 29일 오후 경북 포항 영흥초등학교를 찾아 선친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의 흉상에 인사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부친의 친일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박하던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최근 침묵에 들어갔다.


불과 1주일 전만 해도 김 대표는 부친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의 친일 행적을 덮으려는 여론전에 발 벗고 나섰다. 지난달 26일엔 언론에 ‘고 김용주 선생의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입장’이라는 해명 자료를 냈고 김 전 회장이 한글 교육을 하는 등 민족 운동에 적극적이었다는 내용이 담긴 부친의 평전도 배포했다.


지난달 29일에는 김 전 회장이 설립한 경북 포항 영흥초등학교를 방문해 부친의 흉상 앞에 평전을 바쳤다. 이 자리에서 김 대표는 “요새 좌파들에 의해 아버지가 친일로 매도되고 있다, 내가 정치를 안 하면 이런 일이 없을 텐데 자식 된 도리로서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특히 “어렸을 때 아버지로부터 ‘독립군 자금도 많이 댔다’는 말을 들었다, 과거를 들춰내 과장하고 왜곡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부친이 친일파가 아니었다는 근거로 영흥초등학교를 설립하고 야학을 개설해 한글을 가르친 점, 치안유지법으로 검거된 전력이 있다는 점, 신간회 활동 경력 등을 제시했다.


부친의 평전 내용과 김 대표의 주장만 보면 김 전 회장은 항일 운동을 했던 애국자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변절 이후 부친 행적엔 눈감은 김무성


사실 김 전 회장이 일제강점기 후반까지 항일운동에 나선 것은 맞다. 문제는 김 전 회장이 변절해 친일 반민족 행위에 나섰던 1940년대 이후다. 친일로 돌아선 김 전 회장은 일제에 군용기 헌납운동에 앞장서고 청년들에게 미·영 연합군 격멸에 나서라고 선동했다.


그런데도 김 대표는 부친의 1940년 이후 행적에는 애써 눈을 감고 있다. 김 전 회장의 평전에도 이런 내용은 쏙 빠져있다. 변절 이전의 행적만을 부각해 친일 행위를 덮으려는 역사 왜곡을 하고 있는 셈이다.


김 대표의 이 같은 은폐 시도는 오히려 일을 키웠다. 김 대표의 반격에 여론의 관심은 집중됐고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졌다. 김 전 회장이 일제강점기뿐만 아니라 해방 후에도 일본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일본으로 끌려간 재일교포들을 비난하는 등 친일 발언을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관련 기사 : ‘좌파 탓’ 김무성, 부친 해방 후 친일 발언엔 침묵)


또 김 전 회장은 주일공사(현 주일대사)였던 1950년 재일교포를 겨냥해 “추잡한 행동을 해서 살아온 사람들”이라고 비하하면서 일본 정부에 대해서는 “우리가 머리를 숙여야 할” 대상으로 지칭한 사실도 추가로 밝혀졌다. (관련 기사 : 김무성 부친 김용주 1950년엔 “재일교포 추잡한 사람들” )

기사 관련 사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0월 29일 오후 경북 포항 영흥초등학교를 찾아 선친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의 흉상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김 대표가 부친의 친일 행적을 지우려 할수록 오히려 더 많은 사실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김무성의 무모한 과거 은폐 시도


김 대표가 부친의 친일행위를 솔직히 시인하고 사과했다면 어땠을까. 사례가 없지 않다. 신기남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열린우리당 의장이던 2004년 부친이 일본 헌병 오장 출신이었다는 언론보도가 나온 뒤 사흘 만에 당 의장직에서 물러나면서 “독립투사와 유가족에게 사과와 용서를 구한다”라며 고개를 숙였다.


같은 당 홍영표 의원도 지난 8월 조부의 친일행위에 대해 인정하면서 “저는 민족 앞에 당당할 수 없는 친일 후손이다. 일제강점기 친일파의 행적들은 잊지 마시되 그 후손은 어떤 길을 걷는지 지켜봐 달라. 저는 조부의 행적을 원망하지만 조국을 더 사랑하며 살아가겠다”라고 사과했다.


이 같은 과거 인정과 고백이 비판 여론을 다 잠재우지는 못했지만 용기 있는 고백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김 대표는 반대로 가고 있다. 김 대표 부친의 친일 행적 지우기는 오히려 부친의 친일 논란을 확대 재생산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일제 강점기의 기록은 물론 부친이 정치인으로 활약했던 1948년 이후 기록 등 김 대표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친일 발언과 행적이 추가로 드러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김 대표가 아무리 부인하고 싶어도 부친이 일본 <아사히신문>에 군용기 헌납을 독려하는 기명 광고를 게재한 역사적 기록은 결코 지워지지 않는다.


숨기고 싶은 과거를 지우고 거짓으로 미화하는 것은 실패가 예정된 무모한 시도다. 김 대표가 억지를 부릴수록 이는 두고두고 대권을 꿈꾸는 김 대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하루빨리 부친의 친일수렁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 지금 김 대표에 필요한 건 용기 있는 고백과 사과 아닐까.


편집 ㅣ 손병관기자


이승훈 기자

<2015-11-04> 오마이뉴스

☞기사원문: 부친 ‘친일’ 뭉개기, 김무성의 무모한 도전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