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스토리펀딩]9화 강제동원 비극 감춰진 ‘철의 도시’ 가마이시

2001
 

강제동원, 망각의 현장을 가다
일제 강제동원 현장을 조사하고
피해자의 인권회복을 위해 활동해온 사람들의 이야기

[프로젝트 소개]

“강제노동 피해를 비롯한
‘역사의 전모’를 밝힐 것”

올 봄, 강제동원과 관련한 일본 전범기업 시설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막기 위한 피해자와 시민단체의 노력들은 절반의 성공을 거뒀습니다. 등재를 막지는 못했지만, 유네스코는 등재 조건으로 강제노동 피해를 비롯한 ‘역사의 전모’를 밝힐 것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이 유네스코의 재정을 부담하는 비중, 일본 정부가 십 수 년 전부터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점, 아베 정부가 외교력을 집중적으로 쏟아 부은 점, 일본정부가 강제동원 가해 사실을 공식적으로 명기한 적이 없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일본으로서는 매우 불만족스러운 결과였습니다.

본정부가 ‘강제노동’이라는 단어를 온갖 해괴한 논리를 갖다 대며 부정하려 하지만, 마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모습으로만 비칠 뿐입니다. 오히려 이번 일은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의 ‘강제노동’ 문제가 국제적으로 부각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저희는 유네스코 21개 회원국에게 일본 산업시설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적극적으로 홍보했습니다. 독일의 회의장 인근에서 열린 강제노동 전시회를 살펴본 회원국 관계자들은 “한국의 피해자와 시민단체가 왜 문제제기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국이 왜 문제제기
하는지 알게 되었다”

일본정부의 치밀한 준비에 비하면 강제동원 피해자를 비롯하여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가 너무 늦게 대응한 것이었지만 내용은 결코 부실하지 않았습니다. 이미 20여 년 전부터 피해자와 함께 한일시민들이 일본 각지에서 강제노동 실태를 조사하고 피해 구제 활동을 해온 경험과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록하고, 관공서, 절, 기업 등의 문서고를 뒤지며, 폐허가 된 현장과 이름 없는 한국인의 무덤을 찾아 위령시설을 세우고, 유해를 발굴하는 한편, 일본 사법부를 상대로 소송을 벌여 피해자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오랜 기간 노력해 왔습니다. 이 모든 것이 정부나 기업의 지원 없이 자신의 호주머니를 털어서 지속해온 것입니다.

“정부나 기업 지원 없이
호주머니 털어서 밝힌
강제노동 실태”

‘일본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는 일단 정리가 되었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과연 일본정부가 유네스코의 권고에 따라 강제동원 피해 사실을 제대로 기록할 것인가? 아베정권은 또 무엇을 감추고, 무엇을 노리고 있는가? 오늘도 한국과 일본에서 관계자들의 고민과 회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러한 피해자와 시민들의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보전하고 교육하는 방법을 고민해왔습니다. 또한 진실과 정의, 평화와 인권을 위한 국제적인 연대 활동을 지속해 왔습니다. 이제는 그 활동을 좀 더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기억의 전승과 연대의 허브’ 역할을 할 ‘식민지역사박물관'(가)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과거를 기억하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똑같이 나눠 갖는 책임’ 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 등 각지의 징용. 징병 강제동원 현장에서 활동하며 밝혀 온 성과와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들의 이야기 를 전하기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역사의 진실을 쫓아 수십 년간 노력해 온 사람들 역시,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될 소중한 역사입니다.

그 ‘이야기들’이 사라지지 않고 오랫동안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승되고 기억되길 바랍니다.

[스토리펀딩]1화. 세계유산 ‘군함도’ 지옥섬의 조선인을 기억하라
[스토리펀딩]2화. 바다에 갇힌 조선인의 영혼을 기억하라
[스토리펀딩]3화. 낯선 이국 땅, 카이지마 탄광에서 다시 만난 아버지
[스토리펀딩]4화 “야스쿠니 참배는 백이면 백, 해만 된다”
[스토리펀딩]5화 “죽은 유골까지 차별하는 일본 정부”
[스토리펀딩]6화 “오사카 육군 조병창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가”
[스토리펀딩]7화 “오키나와전, 그 지옥에 끌려간 조선인들”
[스토리펀딩]8화 하이난섬 조선촌에 묻혀있는 살해당한 조선인들


※[스토리펀딩]9화

강제동원 비극 감춰진
‘철의 도시’ 가마이시

‘일본제철 징용공 재판을 지원하는 모임’ 야마모토 나오요시(山本直好) 사무국장의 글을 소개합니다. 모임은 일본제철의 후신인 신일철주금 주식회사에 강제동원 된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소송을 지원하기 위해 1995년에 결성된 일본의 시민단체입니다. 모임은 지난 20년 동안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피해자들을 만나면서 강제동원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또한 1995년부터 매달 ‘무지개통신’이라는 소식지를 발행(2015년 12월 현재 243호)하고 있으며, 2011년 9월부터는 매달 두 차례씩 도쿄 본사와 오사카 지사 앞에서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출근길 선전행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 편집자 주

“어촌에서
‘철의 도시’로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의 이와테(岩手) 현 가마이시(釜石) 시. 험한 산줄기가 바다로 뻗어 톱날 모양의 해안선이 복잡하게 이어진 리아스식 해안을 특징으로 하는 산리쿠(三陸) 지방에 자리 잡은 마을입니다. 난류와 한류가 만나 세계적으로 풍부한 어장을 갖고 있는 작은 어촌 가마이시(釜石)는 근처의 산에서 높은 순도의 자철광이 산출되었을 때부터 ‘철의 도시’로 그 모습이 변하게 됩니다. 이것이 동떨어진 오지였던 가마이시가 일제강점기에 강제노동의 현장이 된 이유입니다.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하시노 용광로 옛터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메이지(明治) 일본의 산업혁명유산 제철·제강, 조선, 석탄산업’을 구성하는 ‘하시노(橋野) 철광산, 하시노 용광로 및 관련 시설’은 일본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양식 용광로가 있던 자리입니다. 막부 말기인 1858년에 모리오카(盛岡) 번의 무사 오시마 다카토(大島高任)가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서양식 용광로에 의한 자철광 제련에 성공하여 하시노(橋野)촌(현 가마이시시)에 3기의 용광로를 건설했습니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도 조업은 계속되었고 전성기에는 종업원이 1,000명에 이르렀으며, 연간 약 930톤을 생산하는 일본 최대의 제철소였습니다.

1874년에 가마이시 광산을 메이지 정부가 사들여 관영 광산이 되었고, 1880년에는 관영 가마이시 제철소가 조업을 시작합니다. 현 가마이시 제철소의 뿌리입니다. 그러나 최신예 기계를 도입했음에도 관영에 의한 제철업은 실패하였고, 이후에는 민간에 의해 광산개발과 제철업이 계속되었습니다.

1934년에 국책회사인 일본제철 주식회사가 설립되었습니다.

가마이시 제철소는 일본제철 산하의 제철소가 되었으며 대형 용광로가 건설되었습니다. 그리고 가마이시 광산은 1939년에 일본제철 주식회사 산하의 자원개발회사로 발족한 일철 광업 주식회사 가마이시 광업소가 되었습니다.

▲ 가마이시 광산

태평양전쟁기 이 곳에도 전쟁의 광풍이 몰아쳤습니다.

이미 메이지 말기부터 광산개발, 철도건설 현장에는 많은 조선인 노동자가 있었습니다. 전시 증산체제 아래에서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한반도에서 강제적인 노무동원으로 끌려온 노동자가 가마이시 제철소에도 배치되었습니다.

강제동원 된 조선인 노동자는 가마이시 제철소 가까이에 있는 ‘협화료(協和寮)’에 수용되었습니다. 생존자의 증언에 따르면 주야 2 교대, 12시간 노동이 1주일 주기로 전환되는 방식이었지만, 실상은 휴일도 없는 힘겨운 노동이 지속되었습니다. 당시 일본의 기간산업 현장에서는 도주를 방지하기 위해 조선인 노동자의 임금을 대부분 강제로 저축시켰습니다. 이것이 ‘지급되지 않은 급료’, 미불임금이 발생한 원인입니다. 회사가 임금에 대해 조선인 노동자들에게 정확히 설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조선인 노동자들은 미불임금이 존재하는지 조차 몰랐습니다.

“우연히 드러난
강제노동의 증거

도쿄에 있는 고마자와대학 도서관에는 일본제철 주식회사 총무부 근로과가 작성한 <조선인 노동자 관계>라는 제목의 서류철 한 권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 서류철은 1950년 일본제철 주식회사가 해산되기 전에 조선인 노동자의 미불임금 등을 처리한 내용이 담긴 내부 자료입니다.

1974년 도쿄의 헌책방에서 우연히 발견된 것입니다. 자료에는 미불임금을 공탁했을 당시의 명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고인이 된 같은 대학 고쇼 다다시(古庄 正) 교수가 이 자료를 분석한 것에 따르면 가마이시 제철소에는 적어도 690명의 조선인 노동자가 동원되었습니다. 그 가운데 사망자는 32명입니다. 사망 원인을 보면 함포사격으로 인한 사망 25명,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5명, ‘개인 병사’는 2명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편 가마이시 광산에 조선인이 몇 명 동원되었는지는 자료가 없어 상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약 1,000명이 동원되었고 일본의 패전과 동시에 노동을 거부하며 ‘폭동’을 일으켰다는 증언이 있습니다(<가마이시 광산 노동운동사>, 1966년). 또한 무리한 전시 증산체제 아래에서 1944년 5월에 대규모 낙반사고가 발생하여 18명이 사망하였는데, 그 가운데 5명의 조선인들이 희생되었다는 사실이 근처 사찰의 과거장(過去帳-사찰에 모신 사망자들의 명부)을 조사한 결과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 일본· 중국 영원한 평화의 상(像)

그런데 이곳에서 강제동원 된 사람들은 조선인들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중국인들도 가마이시 광산으로 동원되어 강제노동 당했습니다. 동원된 중국인 288명 가운데 123명이 희생되어 사망률이 약 42%에 달했습니다. 이는 중국인들이 동원된 전국의 사업장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사망률을 나타낼 정도로 가장 가혹한 강제노동의 현장이 바로 이 곳이었음을 말해주는 기록입니다. 가마이시 시내의 공원에 중국인 희생자를 추도하기 위한 ‘일본·중국 영원한 평화의 상’이 1973년에 건립되었습니다.

가마이시에는 조선인과 중국인뿐만 아니라 강제노동에 동원된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 연합군의 포로수용소 두 곳이 있었습니다. 가마이시 광산 가까이에는 센다이(仙台) 포로수용소 제4분소가 설치되었습니다. 일본이 패전할 당시 연합군 395명이 수용되어 광산에서 강제노동했고 그 가운데 15명이 희생되었습니다. 가마이시 제철소 근처에는 센다이 포로수용소 제5분소가 설치되었으며 일본이 패전할 당시 351명이 수용되었는데 그 가운데 50명이 희생되었습니다.

“한편 가마이시는
‘철의 도시’가 되었기 때문에
비극도 일어났습니다.

1945년 7월 14일과 8월 9일 두 차례에 걸쳐 연합국 함대에 의해 가마이시 제철소와 가마이시 시내 중심부가 함포사격을 받았습니다. 1차 함포사격 때에는 2,565발, 2차 함포사격 때에는 2,781발, 모두 5,346발의 포탄이 가마이시에 퍼부어졌습니다. 두 차례에 걸친 함포사격으로 시민, 제철소 직원, 조선인 노동자, 연합군 포로 등 약 1,000명이 희생되었다고 합니다.

<조선인 노동자 관계> 자료에 따르면 25명의 조선인 노동자가 함포사격으로 희생되었습니다. 또한 센다이 포로수용소 제5분소의 연합군 사망자 50명 가운데 32명도 함포사격으로 희생되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뒤 함포사격 당시에 포로의 안전보호에 문제가 있었다는 등의 이유로 포로 수용소장 등이 전범으로 유죄판결을 받았습니다.

한국에서 너무나도 멀리 떨어진 가마이시까지 강제로 끌려와 함포사격으로 비참한 죽음을 당한 조선인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와 일본 정부는 고향에 있는 유족에게 사망 통지조차 보내지 않았습니다. 물론 희생자의 유골도 보내지 않았습니다. 유족들은 자신의 아버지나 형제가 어디로 끌려갔는지, 살았는지 죽었는지조차 알 수 없었습니다.

해방 뒤에 고향 집에서 사망한 것으로 하여 사망신고를 제출한 유족, 귀국한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전해 듣고 엉뚱하게 “규슈(九州) 탄광에서 사망”했다고 사망신고를 제출한 유족, 자신의 가족이 희생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어 사망신고를 하지 않은 유족들도 있습니다.

▲ 일본제철 징용공 재판을 지원하는 모임 결성 기자회견(1995년 7월 13일). 오른쪽 끝이 필자.

“기나긴 재판의 시작

일본 시민들과의 연대활동을 통해 고마자와대학 도서관의 자료를 보고서야 아버지나 형제의 사망 사실을 알게 된 한국의 유족 11명(10명은 함포사격 희생자, 1명은 산업재해 사망자)은 1995년 9월 일본제철 주식회사를 승계한 신일본제철 주식회사(이하 신일본제철, 현 신일철주금(주식회사)를 상대로 유골과 미불금의 반환 등을 요구하며 도쿄 지방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신일본제철은 재판에서 “일본제철 주식회사는 해산되었으며 현재의 회사와는 직접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재판 당시 신일본제철(현 신일철주금)의 직접적인 전신인 후지(富士)제철주식회사 가마이시제철소는 자산, 인원, 임원을 일본제철로부터 승계하여 같은 장소에서 같은 사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신일본제철은 ‘철과 함께 100년’이라는 제목의 사사(社史)도 발행했습니다.

‘신일본제철’이 가해기업인 ‘일본제철’을 이어받았다는 것을 스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신일본제철에
역사적 책임이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 신일철주금 가마이시 제철소

사실 신일본제철은 재판에서 주장한 것과는 달리 본사의 사원을 가마이시에 파견하여 제철소의 희생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가마이시 현지에서 사찰의 과거장 등을 직접 조사한 바가 있습니다. 또한 1997년 4월에는 원고 측 변호인단과 피고 측 변호인단이 한국에서 공동으로 생존자 증언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물론 당시 증언 조사에는 원고 측을 지원하는 일본 시민들과 본사의 사원도 함께 참여했습니다.

같은 해 9월에는 원고 유족들과 신일본제철 사이에서 법정 밖 화해가 성사되었습니다. 신일본제철은 한국인 희생자가 가마이시 제철소에서 사망한 순직자이며, 유골이 반환되지 않은 것, 전후의 위령사업에서도 배제된 사실을 인정하여 유족 1인당 200만 엔의 위령금을 지불했습니다. 또한 회사 비용으로 유족들을 가마이시에 초대하여 현지에서 위령제를 거행하였습니다. 나아가 직원을 한국에 파견하여 한국에서 열린 위령제에 기부금을 건넸습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강제동원을 당하고 돌아온 생존자들이 제기한 보상청구소송은 일본에서는 패소가 확정되었고, 한국에서는 소송이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 쓰나미에 의해 땅 위로 올라 온 대형화물선(2011년 7월 9일 촬영)

또 하나 가마이시를 이야기할 때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은 이곳이 되풀이해서 쓰나미의 피해를 입은 역사를 가진 마을이라는 것입니다. 메이지 이후의 사례만 보더라도 1893년과 1933년에 거대 쓰나미가 이곳을 덮쳤습니다. 평소에는 평온한 천연 항구인 리아스식 해안이 쓰나미를 증폭시켜 막대한 피해를 불러온 것입니다.

1893년 쓰나미로 당시 가마이시 마을의 인구 6,529명 가운데 4,985명이 사망했습니다. 그리고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거대 쓰나미로 888명이 사망하고 152명이 실종되었습니다. 주택 약 30%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가마이시 사람들은 과거에 발생한 쓰나미의 교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한 계속해서 노력해 왔습니다. “쓰나미 텐덴코”(쓰나미가 오면 뿔뿔이 흩어져 도망쳐라)라는 말이 구전되어 어린이들도 이 말을 잘 알고 있습니다. 2011년의 쓰나미가 덮쳤을 때 초·중학생들 스스로 높은 곳으로 피난하여 목숨을 보존한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열악한 자연환경과 반복되는 자연재해를 극복하며 삶의 터를 만들어온 역사가 살아 있는 마을입니다.

▲ 쓰나미가 덮친 가마이시 중심부(2011년 5월 6일 촬영)


“연대와 새로운 희망

일본의 다른 지역에서는 8월 15일에 아시아·태평양전쟁 전몰자 추도식이 열리지만 가마이시에서는 두 번째 함포사격이 있었던 8월 9일에 거행됩니다. 2007년의 추도식에는 한국의 유족들도 참가하여 유족대표가 인사를 했습니다.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나기 한 해 전인 2010년 8월 9일에는 시민들의 오랜 운동이 열매를 맺어 가마이시시 전재자료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자료관에는 일본인뿐만 아니라 조선인과 중국인이 동원된 사실과 연합군 포로도 희생되었다는 내용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의 직격을 받아 자료관은 크게 파손되었고 전시물도 유실되었습니다. 지금 전재 자료관에 전시되어 있던 내용은 가마이시시 향토자료관 내의 상설코너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쓰나미와 함포사격,
수많은 희생을 극복하며
가마이시 사람들은 그 땅에서
살아왔습니다

역사를 직면하며 살아온 가마이시라는 마을 본연의 모습. 그것은 1997년의 신일본제철 희생자들에 대한 화해를 통한 해결과도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가마이시에서는 아직까지 4,000명 이상이 가설주택에 살고 있고, 인구도 계속 감소하여 원래의 모습을 복구하는 길은 험난하기만 합니다.

함포사격 희생자의 조사도 지지부진하여 진척되지 않고 있으며 가마이시 광산 조선인 노동자의 실상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역사청산을 둘러싸고 한일 양국의 극심한 대립관계가 계속되는 가운데 인구 3만 6천 명의 작은 마을, 가마이시 사람들이 역사를 직면하는 자세에서 해결의 힌트를 찾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ㅣ야마모토 나오요시(山本直好 ‘일본제철 징용공 재판을 지원하는 모임’ 사무국장)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