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파란 눈’ 연합군이 목격한 일본군 위안부는 어땠을까

2472

“일본 병사들이 나온 집을 보니 그곳에 여성들이 있었다”

“조선에서 온 여성이라는 뜻의 ‘메이-초센’이라 불렀다”

“공포에 떨고 있었지만 돌봐주겠다고 하자 고마워했다”

모리스-스즈키 호주국립대 교수 국제학술지 기고 논문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호주 전쟁기념관 홈페이지에는 2차 세계대전 참전 용사의 전쟁 경험담을 담은 육성 파일이 올라와 있다.


호주 참전용사 앵거스 맥두걸은 1984년 인터뷰에서 일본군 포로로 잡혀 트럭에 실려 싱가포르 창이 전쟁포로수용소에 끌려간 경험을 전한다.


인터뷰가 끝날 무렵 맥두걸이 뜻밖의 말을 꺼낸다.


“그런데, 트럭 안에 있던 여자애들에 대해서는 알고 싶지 않으세요?”


면담자가 놀라 되묻자 맥두걸은 당시 트럭 안에는 포로 말고도 ‘위안 소녀들'(Comfort girls)이 있었다고 답한다. 맥두걸은 그들은 일본인이 아니라 말레이시아인이나 중국인 같이 보였다고 회상한다.


2차 대전 당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연합군이 목격한 일본군 위안부의 실태를 소개한 논문이 국내에 처음 소개된다.


17일 민족문제연구소에 따르면 동아시아 역사 전문가인 테사 모리스 스즈키 호주국립대 교수는 최근 국제학술지 「아시아태평양저널」에 ‘그 여자애들에 대해서는 알고 싶지 않으세요? 위안부, 아시아·태평양 전쟁에서의 일본군과 연합군’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기고했다.


▲ 1945년 10월 2일 동티모르 쿠팡의 일본군위안소에서 해방된 26명의 자바인 여성들의 단체 사진. 사진사 K. B. Davis. 호주 전쟁기념관 소장.



이 논문은 호주 전쟁기념관과 영국 전쟁박물관 등이 보유한 연합군 병사들의 증언에 등장하는 일본군 위안부 목격담을 토대로 했다.


이 논문은 조시현 전 건국대 법학과 교수가 번역해 민족문제연구소의 논문집 ‘역사와 책임’ 9호에 실릴 예정이다.


◇ 연합군의 눈에 비친 전쟁 속 위안부


맥두걸은 포로수용소로 가는 기차 안에서 25∼30명의 일본군 위안부를 봤다고 증언했다.


이 여성들은 포로들과 같이 군용 열차와 화물운송 트럭을 타고 음식과 물이 부족한 열악한 환경에서 태국과 미얀마 일본군 위안소로 가는 길이었다고 맥두걸은 말했다.


호주군 일본어 통역자 프레드릭 아르블래스터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에 파견됐을 때 항복한 일본군과 같이 있던 여성들을 만났다.


이 여성들에 대해 묻자 일본군 장교는 적십자 요원이나 병원 간호사라고 둘러댔다.


하지만 아르플래스터는 이들의 복장과 분칠한 얼굴을 보고는 “이전에 본 적 없는 가장 우스꽝스럽게 생긴 적십자 의료진”이라고 핀잔을 줬다. 얼마 후 이들이 일본군 위안부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그는 여성들을 제대로 조사하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고 털어놨다.


이와 비슷한 증언도 있다. 동티모르 쿠팡을 점령한 연합군은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끌려온 일본군 위안부 26명을 발견했다. 일본군은 항복하기 전날 밤에 이 여성들에게 적십자 완장을 나눠줬다고 한다.


논문은 일본군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운영한 위안소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의 식민지 미얀마에서 일한 영국인 판사의 딸인 엘레아노르 클라크는 미얀마에 있을 때 매우 많은 조선인 위안부를 봤다고 회상했다.


클라크는 “일본 병사들이 나온 집을 보니 그곳에 여성들이 있었다”며 “우리는 그들을 조선에서 온 여성이라는 뜻의 ‘메이-초센’이라고 불렀다”고 증언했다.


영국군 장교 제프리 애덤스는 일본군 포로로 잡혀 태국의 힌다토 온천 휴양지에서 대나무로 된 작은 방들을 만드는 작업에 투입됐다. 트럭을 타고 온 많은 수의 위안부들이 방에 끌려가서는 콘돔을 입으로 불면서 시험하고 나서 일본군 병사들을 맞는 것을 봤다고 애덤스는 회고했다.


▲ 뉴기니에서 일본이 위안소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 호주 전쟁기념관 소장.



◇ 전쟁 후 갈데없이 버려진 위안부


논문은 위안부들이 일본의 항복과 함께 버려졌다는 증언도 담았다.


영국 왕립포병대 출신인 윌리엄 윌슨은 미얀마의 정글에서 일본군이 두 명의 ‘게이샤 소녀’를 사살해 묻어버린 것을 발견했다고 증언했다.


영국군 소령 조지 메일러-호와트는 어느 일본군 위안소에서 빠져나온 ‘겁에 질린 조선 소녀들 무리’를 발견한 상황을 회고록에 적기도 했다.


“이들은 납치돼 자신들의 의사에 반해 일본군 병사들의 노예가 되도록 강요받은 것이 분명했다. 이들은 공포에 떨고 있었지만 미얀마어 통역자를 통해 돌봐주겠다고 말하자 아주 고마워했다.”


종전 후 미얀마에 복무한 한 영국 장교는 조선인 위안부 5명을 만난 경험을 전했다.


일본군이 후퇴하는 혼란 속에서 탈출한 이들은 이 영국 장교에게 보호를 간청했다. 그는 “이들은 흙투성이였지만 바나나돈(banana money:점령기에 발행된 일본군 화폐)을 ‘어찌어찌’ 확보해 열대의 폭우로부터 보호하려고 콘돔 속에 넣어 가지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논문은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전시 성폭력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이들의 경험을 외면하면서 ‘이 여성들에 대해 알고 싶어 하지 않아’ 했다”며 “더 나은 미래를 모색하려면 우리는 역사적으로 모든 면에서 정직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에 주로 의존했다”며 “이번 논문을 통해 연합국 군인들의 증언에서도 위안부의 존재가 발견된다는 것이 확인됐으니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호주 종군화가 도날드 프렌드의 1945년 소묘 작품. 자바 섬에서 보르네오로 이송된 수척한 자바 원주민들을 묘사했다. 호주 전쟁기념관 소장.



kamja@yna.co.kr


<2016-02-17> 연합뉴스

☞기사원문: ‘파란 눈’ 연합군이 목격한 일본군 위안부는 어땠을까


※관련영상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