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헌영의 세계문학기행
<격변기 문호들을 찾아 떠나다>
전세계 문학 현장을 25년 누빈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의 새 연재 매주 만나는 세계 문학의 절정 “자유, 평화, 인도주의”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오래된 질문을 <한겨레21>이 다시 묻는다. 야차 같은 정권의 그늘 아래 한반도 남쪽 민주주의는 갈수록 창백해지고 있다. 농민은 병실에 누워 있고, 노동자는 붉은 띠 두르고 하늘에 오른다.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이라는 말이 넘쳐난다.
그런데도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세상살이의 태반은 말글살이다. 사람들은 비정한 비언어의 세계에서 언어로 소통하고 언어로 환호하며 언어로 절규한다. 언어 없는 인간세를 상상할 수 없듯이, 언어의 힘을 불신하는 문학은 존재할 수 없다. 문학이 ‘겨울공화국’의 혹한을 견디고 봄날을 꿈꾸며 삶의 근육을 다지는 데 조금이라도 이바지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문학비평가 임헌영(75·사진)의 세계문학기행 연재를 이번호부터 싣는 까닭이다.
연재는 일본의 두 형제 이야기로 시작해, 유일한 한국인 이미륵에서 마침표를 찍을 참이다. 전쟁과 역사, 민중의 저항, 침략과 제국주의 반대를 열쇳말 삼아 세계문학의 ‘절정’이 차례로 소개된다. 작품의 현장을 두루 돌아본 저자의 안내에 따라 독자들 또한 시대를 읽고 자신을 해석하며 타인과 공존하는 길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재는 매주 이어진다. _편집자
[시작하는 글]
기획연재 <임헌영의 세계문학기행> 격변기 문호들을 찾아 떠나다
[연재] 1화 일본의 윤동주 일본의 톨스토이
[연재] 2화 춘원 이광수의 양부 일본의 괴벨스
[연재] 3화 위대하고 혼란스런 파리의 빅토르 위고
[연재] 4화 무시무시한 시절의 위고
루이 나폴레옹 독재 비판하다 해외로 도피한 위고… 황제를 독하게 조롱하고 파리코뮌을 동정하다
▲ 1871년 쓸쓸한 시절 빅토르 위고가 살았던 집. 임헌영 |
나폴레옹 맹신 세력의 몽매로 대통령이 된 루이 나폴레옹은 당선 즉시 야비한 본색을 드러냈고, 투표를 잘못한 국민은 그 대가로 민주주의가 20년 후퇴하는 역사를 앓았다. 이 사기꾼이 장기 집권을 위해 개헌을 시도하자 빅토르 위고는 신문 <레벤망>과 의정 단상 등에서 맹비난했는데, 독재자는 그 발행을 중단해버렸다. 이에 <인민의 출현>이라 개제해 속간하자 루이 나폴레옹은 위고의 두 아들을 구속해버렸다.
1851년 12월2일, 친위 쿠데타로 계엄을 선포, 국회의원들을 체포하자 연행을 피한 위고는 저항위원회를 조직, 대통령 규탄과 노동자 봉기에 진력했다. 바스티유 광장에서는 군 장교와 경찰들 앞에서 격렬한 반대 연설을 하다가 외자(外子) 쥘리에트 드루에의 팔에 끌려나왔다. 그냥 뒀다면 필시 군경의 총에 맞았을 위기였기에 그녀는 생명의 은인으로 격상되었다.
“추악하고 무능한 칠푼이”
12월3~4일의 시가전은 400여 명이 피살되면서 처참하게 끝났고, 이내 현상금 2만5천프랑의 위고 수배 전단이 나붙었다. “연령 48살, 키 170cm, 머리칼 회색, 눈썹 갈색, 눈동자 갈색, 수염 회색, 얼굴 둥근형, 뺨 통통함.”
외자가 위고를 작곡가로 위장시켜 노동자 모자에 검은 코트 차림으로 12월11일, 파리를 떠나 브뤼셀로 보냈다.
독재자는 이후 두 번의 국민투표로 계엄과 황제 추대를 합법화, 1852년 12월2일, 쿠데타 1주년 기념일에 나폴레옹 3세 황제로 즉위, 제2제정 시대를 열었다.
격노한 위고가 <소인배 나폴레옹>(1852)이란 탄핵서를 쓰자, 벨기에 당국에 압력을 넣어 그는 런던으로 가려다가 저지섬에 내렸다. 더 독해진 작가는 “추악하고 무능하며 데데한 칠푼이”라고 황제를 야유했다. 로마의 칼리굴라와 클라우디우스, 성서의 유다와 카인, 뱀과 악어와 말벌과 거미 같은 징그러운 동물에다 황제를 빗댄 게 시집 <징벌>(1853)인데, 누가 당장 번역했으면 좋겠다.
파리국제박람회(1855)에 간 빅토리아여왕을 소인배에게 굴복했다고 비난한 위고에게 영국이 압박하자 다시 건지섬으로 이사했다(1855). 평생 한 번 가진 자기 저택인 오트빌 하우스에서 위고는 <레 미제라블>을 완성하는(1861) 등 15년을 지냈다.
칠푼이를 뽑은 국민에게 엄청난 재앙이 닥쳤다. 1870년 7월19일 황제의 우매한 실언으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이 터진 것이다. 위고는 조국의 패배를 즉각 예견하고 귀국을 서둘렀는데, 승리를 장담했던 소인배 황제는 한 달 반 만에 세당에서 포로로 잡혀버렸다. 나라 망신에 분노한 파리 시민은 황제와 국회 타도, 공화국 만세를 외쳤고, 이로써 제3공화국이 탄생했다.
9월5일 밤 9시35분, 위고는 파리역에 도착,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 경황에도 그는 환영 나온 후배 시인 테오필 고티에의 딸 쥐디트(시인, 나중 바그너의 애인)에게 눈독 들였다가 2년 뒤 관계를 가진다.
파리코뮌 시절의 위고
▲ 페르라셰즈 공동묘지 ‘코뮌의 벽’. 임헌영 |
국방임시정부가 구성됐는데도 파리20구 중앙위는 코뮌 중심의 직접민주정부를 요구했다. 위고는 국방정부 편이었다. 프로이센군에 포위당한 파리는 겨울이 되자 굶주림의 극한에서 쥐 한 마리에 2~3프랑, 개고기 1파운드가 5프랑인 참상이 벌어졌다. 시민들은 동물원의 고기(원숭이 등)로 존경하는 위고를 특별 대우했다.
1871년 2월 총선에서 파리는 진보파가 압도했으나 농촌은 보수파 일색이었다. 보르도의 대극장에서 열린 국회는 독일에 알자스로렌 지역을 양도하는 등 굴욕적인 휴전협정 찬반 토론을 벌였다. 끝까지 협정 조인을 거부하던 위고는 소수파로 패배하자(휴전 찬성 546, 반대 107) 미련 없이 의원직을 사임했다(3월8일).
애국을 팔아 호강하던 특권층은 나라의 땅덩어리야 잘라주건 말건 희희낙락했지만 핍박받았던 국민들은 항전의 기세가 넘쳤다. 1980년 광주항쟁 같은 파리코뮌(1871년 3월28일~5월28일)은 이래서 일어났다. 봉기에는 찬성하지 않았으나 실패할 것을 알면서도 이에 동정적이었던 위고는 또 브뤼셀로 피신, 코뮌 용사들에게 언제나 문을 열었다. 그러자 위고를 교수형에 처하라며 창문에다 투석하는 사건이 터지자 벨기에가 추방령을 내려 위고는 5월 룩셈부르크로 떠났다.
5월21일, 파리를 포위한 독일군의 암묵 아래 정부군은 시내로 무자비하게 진격했다. 26일, 비 내리는 페르라셰즈 공동묘지에서 코뮌 용사들의 백병전은 분쇄당했고 28일 코뮌은 막을 내렸다. 정부군은 3만 명 학살에 10만 명을 체포, 그중 4만 명을 베르사유 군사재판에 회부해 370명 사형, 410명 강제노동, 4천 명 요새 금고, 3500명에게 유형 판결했다.
매년 5월27일 페르라셰즈의 ‘코뮌의 벽’에서는 탄흔이 남아 있는 돌담에 세계 노동자 대표가 화환을 증정하는데, 나치 점령 치하에서도 지속됐다.
급진파로 밀려 쓸쓸한 낙선
민심은 코뮌에 지극히 불리해서 위고의 측근인 플로베르, 고티에, 르낭, 르콩트 드릴조차 규탄에 합세했고, 랭보와 에밀 졸라 정도가 희생자들에게 동정을 보냈다.
1871년 10월1일, 쓸쓸하게 파리로 귀환한 위고는 코뮌 참가자의 사면을 호소했으나 성과가 없었고 이듬해 총선에서는 급진파라는 세론에 밀려 낙선했다. 이 잔혹한 시대를 그는 시집 <무시무시한 해>(1872)로 애도했다.
임헌영 문학비평가·민족문제연구소 소장
<2016-03-01> 한겨레21 제1101호
☞기사원문:
무시무시한 시절의 위고
- 58665959.jpg (12.08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