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⑥독립운동가 아내 육필 수기 20년 만에 재출간

985

 


민족문제연구소, 독립운동가 김예진 선생 아내 한도신 여사 회고록

“독립운동 참여·성원한 여성의 삶·사상 이해할 수 있는 가치있는 책”


(서울=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나는 죽지 못해 산다! 죽일 테면 죽여라! 너희 육법전서에 아무나 죽여도 된다는 법이 있으면 죽여라!”


이 강단 있는 호통과 부르짖음은 1920년 둘째를 임신한 상태에서 독립운동가인 남편 김예진(1898∼1950) 선생의 행방을 물으며 총구를 들이댄 일본 순사에게 김 선생의 부인 한도신(1895∼1986) 여사가 던진 말이다.


민족문제연구소는 광복 71주년을 맞아 한 여사의 육필 회고록을 출간 20년 만에 재출간한다.

 


이 책은 한 여사가 남편의 독립운동을 뒷바라지하며 겪은 모진 고초를 섬세하고 솔직하게 적은 원고지 1천200매 분량의 육필 원고를 묶은 것이다.

 


▲ 1966년 5월 김예진 선생의 서울 현충원 안장식 후 가족 기념촬영. [민족문제연구소 제공]

 


한 여사는 1919년 2월 28일 남편의 3·1 운동 거사를 도와 재봉틀로 대형 태극기를 제작하며 굴곡진 시대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길고 긴 기미년 2월 그믐밤을 꼬박 새웠다. 나는 당목에 큰 태극기 재봉을 계속하다 새벽녘에 다른 식구들 몰래 밤참을 만들어 안방 사람들을 대접했다. 안방 사람들은 태극기를 종이에 그려 대나무 꼬챙이에 매달아 수기(手旗)를 만들고 있었다.” (‘감옥소 면회인생의 시작’ 중)


한 여사는 독립운동을 하며 쫓기는 남편에 대한 애틋한 마음도 적었다.

 


“순사들이 들이닥칠까 무서우니 그냥 저녁 먹다 남은 찬밥을 얼른 드릴까 하다가 한겨울 한밤에 먼 길을 갈 남편한테 따뜻한 밥을 대접해 드리고 싶어 연기 나지 않는 나무로만 골라서 밥을 새로 했다. 이제 따뜻한 밥을 드시려다 잡히면 내 죄다 싶어 어찌나 조마조마하던지 나무 때는 손이 떨리고 밥상에 반찬 놓는 손이 떨렸다. (중략) 식사하시는 동안 나는 행여나 순사들이 들이닥치지 않나 담 너머로 망을 봤다.”(‘손이라도 한번 흔들어줄걸’ 중)

 


1922년 두 딸을 데리고 남편이 있는 중국 상하이(上海) 임시정부에 간 한 여사는 독립운동 지도자들의 생활상을 지켜본 경험을 생생히 묘사했다.

 


이 글에는 특히 백범 김구 선생, 도산 안창호 선생 등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들의 소신과 성격도 그대로 드러나 있다.

 


“김구 선생이 우리 집에서 식사하고 가실 때마다 내게 하시던 말씀 한마디가 아직 잊히지 않는다. ‘독립되면 편할 날이 있으리다.’ (중략) 안도산(안창호) 선생은 인격이 특출하고 언행이 분명한 분이었다. 인자하면서도 말이 적으시고 위엄이 있으셨다. (중략) 여운형 선생은 웅변가답게 만세를 어떻게 부를 것인가에 대해서도 소신을 갖고 계셨다. 그는 만세를 부를 때는 손을 펴서 들어 올릴 것이 아니라 주먹을 불끈 쥐고 해야 한다고 하셨다.”(‘상해 영웅들의 뒷모습’ 중)

 


▲ 1938년 김예진 선생의 평양신학교 졸업 후 찍은 가족 기념사진. 뒷줄 왼쪽부터 장남 동명, 김예진 선생, 장녀 선명, 차녀 재명. 앞줄 왼쪽부터 3녀 광명, 4녀 순명, 한도신 여사, 차남 동수. [민족문제연구소 제공]

 


한 여사의 상하이 생활은 남편이 1920년 평안남도청 폭파 의거를 한 혐의로 1926년 일본 형사에게 체포되면서 끝이 난다. 남편이 평양에서 재판을 받는 와중에 불리한 증언을 한 순사와의 일화에서는 조선 여장부의 기개가 엿보인다.

 


“마침내 검사는 기립하여 나카무라 경부의 증거에 의해 징역 15년을 구형한다고 했다. 15년이라는 말에 재판을 지켜보면서 내내 참고 있었던 내 울분이 터져 나왔다. 나는 순간적으로 나카무라에게 달려들어 그의 목덜미를 틀어쥐고 귀때기를 후려쳤다. ‘이놈! 네가 언제 김예진이 안내하는 것을 보았느냐?’ (중략) 나라 잃고 서러움 당했던 오랜 울분이 한꺼번에 터진 것이었다.”(‘일본 순사의 따귀를 친 여자’ 중)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있듯이, 김 선생의 집안도 풍비박산이 났다. 그 씁쓸함도 글에 묻어났다.

 


“온 집안이 독립운동하느라 시아버지와 큰아들이 큰 살림을 날리고 어린 시동생들이 피해를 몽땅 뒤집어 쓴 것이다. (중략) 일정 시대에 알랑거리며 잘 지내던 집안은 지금도 떵떵거리며 잘살고 있다. 독립운동하며 고생하던 집안은 지금도 고생한다. 세상이 다 그렇다.”(‘나홀로 진 십자가’ 중)

 


이 밖에 한 여사는 그토록 고대하던 해방 이후 생활, 한국전쟁 통에 남편이 허망하게 인민군에게 사살당한 비극, 남편의 건국공로훈장 추서, 혼자 힘으로 2남 4녀를 길러내 서울시로부터 모범어머니상을 받은 일 등을 꼼꼼하고 담담한 필치로 적어갔다.

 


▲ 1962년 3월 1일 김예진 선생 건국공로훈장 수상자 기념촬영. 앞줄 왼쪽편 손가락 표시가 한도신 여사. 둘째줄 정가운데는 김좌진 장군의 아들 김두한 전 의원. 맨앞줄 가운데가 심산 김창숙 선생. 그 위 왼편 군인이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 [민족문제연구소 제공]

 


이 책은 한 여사가 세상을 떠나고서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가 아들 김동수(80) 씨에게 받은 원고를 정리해 1996년 ‘꿈 갓흔 옛날 피압흔 니야기'(꿈같은 옛날 피아픈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간된 뒤 2010년 ‘나라사랑의 가시밭길에’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간된 바 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최근 여성이 독립운동의 주체라는 점을 인정하는 흐름에 따라 독립운동가로서의 한 여사의 삶을 재조명하고자 재출간을 결정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이준식 연구위원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성원하고 직접 참여하기도 했던 한 여성의 삶과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책”이라며 “편집자 주석과 미공개 사진 등을 추가해 정식 출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vs2@yna.co.kr

 

<2016-08-14> 연합뉴스

☞기사원문: <광복 71년> ⑥독립운동가 아내 육필 수기 20년 만에 재출간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