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聞朋友末子之最終司法試驗落榜歎吟
刺股懸梁久(자고현량구)
靑雲夢不成(청운몽불성)
如何其失意(여하기실의)
世上棄才英(세상기재영)
벗님 막내아들의 마지막 사법 시험 낙방 소식을 전해 듣고 탄식하며 읊다
열심히 공부한 지 오래됐는데
靑雲의 꿈 이뤄지지 않았으니
그 失意가 과연 어떠하였으랴
세상이 뛰어난 이를 버렸구나.
<時調로 改譯>
열심히 공부한 지도 썩 오래되었는데
靑雲의 꿈 不成이니 失意 어떠했으랴
세상이 뛰어난 이를 버리고 말았구나.
*傳聞: 다른 사람을 통해 전하여 들음. 또는 그런 말 *末子: 막내아들 *刺股
懸梁: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戰國 시대 소진
(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楚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자고(刺股) *靑雲: 푸른 빛깔의 구름. 높은 지위나 벼슬을 비유적으로 이르
는 말 *不成: 이뤄지지 못함 *失意: 뜻과 의욕을 잃음 *才英: 재주 있는 사람.
<2017.7.2, 이우식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