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본 오키나와에서 조선인 묘표가 확인됐다는 소식 어제(15일) 전해드렸는데요.
오키나와 곳곳에 조선인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들이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조선인의 유해가 발굴돼 국내로 돌아온 적은 한 번도 없었고, 유해 반환에 대한 논의도 답보 상탭니다.
윤봄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키나와 본섬의 최남단.
패전을 앞둔 일본군이 후퇴해 주둔했던 숲입니다.
미군의 집중 공격을 받은 곳인데, 조선인으로 구성된 특설수상근무대도 이 일대에 주둔했습니다.
전쟁이 끝난 지 70년이 넘게 지났지만, 유해 발굴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이 이렇게 깊은 산 속까지 찾아와 발굴 작업에 힘쓰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손을 놓은 사이, 유해 발굴을 계속 하고 있는 건 자원봉사자 대여섯 명입니다.
[“(뭐가 나왔나요?) 손가락뼈. 아마도 이 부위인가? 손인지, 발인지 아직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발굴된 유해는 오키나와 현에서 임시 보관하고 있는데, 대부분 DNA 확인도 못했습니다.
[구지켄 다카마츠/유해 발굴 자원봉사자 : “지금까지 발견된 유골 중에 조선인도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합니다.”]
발굴 현장 인근엔 유골 3만 5천구가 묻혔다는 자리가 남아있습니다.
전쟁 직후 농부들이 밭을 갈 때마다 유해가 쏟아져 나와, 이를 한 번에 묻고 탑을 세운 겁니다.
[오키모토 후키코/강제 동원 조선인 연구자 : “(조선인 부대가) 이곳에서 전멸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조선인들의 유골도 이 혼백의 탑 아래에 들어갔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미군이 일본군 포로 7천 명을 감시했다는 수용소 자리.
이 해안가엔 지금 마을이 들어섰고 포로수용소 터를 표시하는 비만 남아있습니다.
일본의 한 단체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확인한 매장자 명단.
조선인으로 보이는 이름도 여럿 확인됩니다.
하지만 이들이 어디에 어떻게 묻혔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
산속부터 해안까지, 오키나와에서 숨지거나 행방불명된 조선인은 최소 7백여 명.
조선인 유해가 발굴돼 반환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정부 차원의 논의는 지지부진합니다.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팀장 : “일본 정부와 유해 반환 교섭에서 어떤 내용을 요구했고, 이후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저희가 수차례 정보공개청구를 요청한 바가 있습니다. 그런데 외교적 사안이라 공개할 수 없다.”]
오키나와 외에도 소재가 파악된 한국인 유골은 2천 8백 위에 달하지만, 정부 차원의 유해 반환은 2010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된 상태입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2018-08-16> K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