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사

“일제 식민지배가 후세 미친 영향까지 두루 보여줄 겁니다”

4065

[] 민족문제연구소 김승은 자료실장

0824-1

▲ 김승은 실장은 3년 전 프랑스 국가기록원이 ‘나치 부역자들’을 주제로 전시회를 열었던 사실을 떠올리며 한국도 식민주의 청산은 이제부터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프랑스 국가기관이 왜 프랑스판 친일파 전시회를 열었을까요. 현실 정치에서 필요해 그런 것이죠. 당시 프랑스 젊은이들이 나치 유사 정당에 많이 가입했거든요. 파시즘을 경계한 것이죠.” 덧붙였다. “덕성여대 사학과에서 공부하면서 ‘국가는 다 역사를 왜곡한다’는 걸 배웠죠. 그때 국가가 기록하지 않은 이야기를 내가 기록하자는 생각을 했어요.”

국치일인 오는 29일 서울 용산구 청파동에 식민지역사박물관이 문을 연다. 건립 준비위 발족 11년 만이다. 민족문제연구소(이하 민문연)가 지난해 12월 옮겨 온 5층 건물의 1~2층 140여 평 공간에 들어선다. 개관일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환영 플래카드를 들고 독립운동가 후손 등 참석자를 맞을 예정이다. 오후 3시30분 개관식에 앞서 근처 효창공원 독립선열 묘역을 답사하는 행사도 한다. 첫 기획전은 오는 10월 열리는 ‘반민특위 70년 특별전’이다. 박물관 학예실장을 겸하게 되는 김승은 민문연 자료실장을 21일 민문연 사무실에서 만났다.

“애초 2010년 열려고 했는데 8년이나 늦어졌네요.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벌어진 역사 왜곡 탓이 크죠.” 설명을 더 들었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 뉴라이트 진영은 친일 미화 대안 교과서를 내놓았고 박근혜 정부는 국정 역사 교과서를 밀어붙였어요. 공영방송 케이비에스도 친일·독재 미화 다큐멘터리를 틀었죠. 싸우느라 바빠 개관에 힘을 쏟을 수 없었어요.”

0824-2

▲ 개관을 앞둔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시관 내부. 민족문제연구소 제공

민문연은 지난해 박물관이 들어설 건물을 51억 원에 샀다. 인테리어 비용 등까지 합하면 56억 원이다. 건물 구입엔 시민 후원금 15억 원과 <친일인명사전> 판매 기금 11억 원이 큰 힘이 됐다. 대출도 22억 원을 받았다.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장을 지낸 송기인 신부가 2억 원을 내주셨죠. 10만 원 이상 기부한 분들이 4800명이나 됩니다. 최근엔 양보경 성신여대 총장과 한상권 덕성여대 총장대행 부부가 2천만 원을 보내주셨죠.” 3년 전 결성된 일본 시민단체 ‘식민지 역사박물관과 일본을 잇는 모임’ 쪽도 1억300만원을 모았다.

그는 박물관 개관의 의미를 이렇게 짚었다. “친일인명사전(2009년)이 청산하지 못한 역사를 기록하면서 우리 사회에 정의와 상식을 세우는 운동이었다면 박물관은 이렇게 기록된 역사를 교육·전승하고 이를 통해 세계와 소통하는 장이 될 겁니다.”

박물관 이름에 ‘식민지’를 넣은 것도 하나의 도전이었단다. “식민지 대신 일제강점기나 일제침탈사라고도 할 수 있었죠. 하지만 식민지란 말은 그 시대를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하죠. (박물관은) 왜 식민지 시대를 고민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어요.” 전시 구성은 그가 말하려는 바를 이해시킨다. 2층에 들어설 상설전시장은 모두 4부다. 1부는 ‘일제 침략과 식민지 지배’이며 2부는 ‘일제 침략 전쟁과 강제동원’, 3부는 ‘한 시대 다른 삶, 친일과 항일’, 4부는 ‘과거를 이기는 힘,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이다. “3부에선 우당 석주 등 망명 독립운동가 가문과 대표 친일파인 윤씨 가문을 대비합니다. 신흥무관학교 출신 독립군들과 독립군 색출에 나선 일본 육사 출신 장교들도 함께 보여주죠. 4부는 반민특위 좌절에 이은 친일파 귀환과 지연된 역사의 정의를 공감과 연대의 힘으로 극복해왔음을 보여줍니다.” 35년 식민의 흔적이 후세에 미친 영향까지 두루 보여준다는 것이다.

‘식민지역사박물관’ 29일 국치일 개관
보수정권 역사왜곡 맞서다 8년 지연
시민성금과 대출 등으로 건물 매입
송기인 신부 2억·일본시민도 보태 

학예실장 맡아…10월 ‘반민특위 특별전’

일본 시민단체 모금엔 800여 명이 참여했단다. “일 후원자들이 가장 먼저 한 말이 ‘우리가 먼저 만들었어야 하는데’였죠. ‘한국 정부도 아니고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하는데 그냥 있을 수 없다’면서 참여했죠.” 일본엔 비슷한 박물관이 있을까? “전 세계에서 평화박물관이 가장 많은 곳이 일본이죠. 작은 시민단체나 개인들이 낸 공간이 많아요.” 하지만 국가나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박물관 중엔 식민 지배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곳은 찾기 힘들단다. “오사카 인권박물관이 일본 사회의 조선인 차별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전시를 했는데 극우 성향 지사가 오면서 성격이 변질했죠. 교토의 리쓰메이칸대 국제평화박물관도 전쟁 반대와 평화를 지향하지만 자국의 전쟁 범죄를 부각하진 않아요.”

0824-3

▲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시관 내부. 민족문제연구소 제공

주목할 전시품 하나를 꼽아달라고 하자 김 실장은 순종이 국권을 넘긴다고 밝힌 칙유를 들었다. “국권을 내가 믿고 의지하는 이웃 나라 일본 황제 폐하에게 넘긴다는 내용이죠. 석판 인쇄된 원본입니다. 어디서도 보기 힘든 자료이죠. 조선 1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부임하면서 시정방침을 밝힌 글도 있어요. 그걸 보면 당시 일본이 조선인 협력자 양성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 알 수 있어요. 교과서에서 기계적으로 배운 식민 지배 실상이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전시 자료 수집은 7년 전부터 해왔단다. “작년 2월 박물관 건물을 계약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일본 쪽에서 자료가 많이 들어왔어요. 일제 때 조선에 살던 일본인이 70만 명입니다. 지금도 당시 조선이나 만주에서 나온 책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아요. 1932년 윤봉길 의사가 처형당했을 때 나온 일본 지역 신문도 기증받았어요.” 신사 자료는 박물관이 아마 세계에서 가장 많을 것이라는 말도 했다. “70년대부터 천황제 반대운동을 해온 일본인(즈시 미노루)께서 그간 모은 신사 자료를 2009년부터 기증하고 있어요. 야스쿠니 신사에서 낸 자료는 대부분 있죠. 일제 때 조선 신사 자료도 엽서를 포함해 많아요.”

0824-4

▲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시관 내부. 민족문제연구소 제공

그는 2005년부터 민문연에서 일하고 있다. “고려대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공부할 때 선배 권유로 합류했죠.” 1990년 덕성여대 사학과에 들어간 건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한 분노 탓이 컸단다. 계획을 묻자 “1970년대부터 시작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의 법정 투쟁을 낱낱이 기록하고 싶다”고 했다.

글·사진 강성만 선임기자 sungman@hani.co.kr

<2018-08-23> 한겨레 

☞기사원문: “일제 식민지배가 후세 미친 영향까지 두루 보여줄 겁니다”


NO COMMENTS